책 - 별의 계승자
과학소설을 상당히 좋아하고 많은 책을 읽었다고 생각하는 내게 처음 다가온 소설, 별의 계승자.
1977년작인데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에 정식 번역 소개되어서일까? 나는 뒤늦게서야 (2021년) 이 책을 알게 되었고, 말 그대로 푹 빠져서 다섯권을 내리 읽었다.
1부에서는 인류의 기원,
2부에서는 외계인의 등장,
3부에서는 외계인이 이주해간 다른 항성계
4부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가상 공간의 생명
5부에서는 다중 우주를 다룬다.
1969년에 인류의 달 착륙이 있고 나서 10여년 뒤에 쓰이긴 했지만, 그 집필 시기가 1977년이다. 44년 전이다. 인터넷도 휴대폰도 등장하지 않았던 시기에 쓰인 '옛날' 소설의 느낌이 전혀 나지 않는다.
작품 속에서는 다만 휴대폰에 대한 묘사가 거의 없는데, 이는 과학소설의 거장 아서 클라크의 작품에서도 마찬가지다. 휴대폰은 정말 상상하기 어려운 제품이었던 걸까? 여튼, 미래 세계를 그린 이야기에서 휴대폰이 등장하지 않고서도 미래 세계를 충분히 잘 그려내고 있다. 소설의 주제는 휴대폰이 아니라 인류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라서 그럴 수도 있다.
작가 특유의 기법이랄까? 별의 계승자에는 대화가 엄청나게 많이 나온다. 그리고 옥의 티를 굳이 들추자면 불과 5년여 사이에 너무 많은 일이 일어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이야기의 웅장함으로 인해 감상에 그리 방해되지는 않는다.
실제 우리 세상이 하루가 다르게 얼마나 빠르게 바뀌고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5년이 그리 긴 시간도 아닐 수 있다.
현실 속의 우리는 아직은 외계 지적 문명은 고사하고 외계 생명체의 흔적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외계 생명 발견 나아가 지적 존재와의 만남은 우리 지구 문명에 엄청난 충격과 변화를 가지고 올 것임은 확실하다. 그리고 그 충격은 소설 속에서도 나오지만 인간 또는 지구상 생명 특유의 적응력으로 인해 금새 일상의 모습으로 바뀔 것이라 예측도 가능하다.
별의 계승자에 나오는 외계 문명은 블랙홀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상대성 이론을
과학소설을 상당히 좋아하고 많은 책을 읽었다고 생각하는 내게 처음 다가온 소설, 별의 계승자.
1977년작인데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에 정식 번역 소개되어서일까? 나는 뒤늦게서야 (2021년) 이 책을 알게 되었고, 말 그대로 푹 빠져서 다섯권을 내리 읽었다.
1부에서는 인류의 기원,
2부에서는 외계인의 등장,
3부에서는 외계인이 이주해간 다른 항성계
4부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가상 공간의 생명
5부에서는 다중 우주를 다룬다.
1969년에 인류의 달 착륙이 있고 나서 10여년 뒤에 쓰이긴 했지만, 그 집필 시기가 1977년이다. 44년 전이다. 인터넷도 휴대폰도 등장하지 않았던 시기에 쓰인 '옛날' 소설의 느낌이 전혀 나지 않는다.
작품 속에서는 다만 휴대폰에 대한 묘사가 거의 없는데, 이는 과학소설의 거장 아서 클라크의 작품에서도 마찬가지다. 휴대폰은 정말 상상하기 어려운 제품이었던 걸까? 여튼, 미래 세계를 그린 이야기에서 휴대폰이 등장하지 않고서도 미래 세계를 충분히 잘 그려내고 있다. 소설의 주제는 휴대폰이 아니라 인류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라서 그럴 수도 있다.
작가 특유의 기법이랄까? 별의 계승자에는 대화가 엄청나게 많이 나온다. 그리고 옥의 티를 굳이 들추자면 불과 5년여 사이에 너무 많은 일이 일어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이야기의 웅장함으로 인해 감상에 그리 방해되지는 않는다.
실제 우리 세상이 하루가 다르게 얼마나 빠르게 바뀌고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5년이 그리 긴 시간도 아닐 수 있다.
현실 속의 우리는 아직은 외계 지적 문명은 고사하고 외계 생명체의 흔적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외계 생명 발견 나아가 지적 존재와의 만남은 우리 지구 문명에 엄청난 충격과 변화를 가지고 올 것임은 확실하다. 그리고 그 충격은 소설 속에서도 나오지만 인간 또는 지구상 생명 특유의 적응력으로 인해 금새 일상의 모습으로 바뀔 것이라 예측도 가능하다.
별의 계승자에 나오는 외계 문명은 블랙홀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것으로 묘사된다. 여기서부터 본격적으로 과학적 상상을 그린다. 초공간을 이용한 여행이나 통신 등은 아직은 지구의 과학 영역에서는 불가능한 부분이긴 하지만.
작가 제임스 호건에 대한 호기심이 생겨서 검색을 해보니 여러 다른 작품들이 있는데, 아쉽게도 한글로 번역된 것은 별의 계승자 5부작이 전부로 나온다.
과학소설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이 읽기에는 다소 지루한 면이 분명히 있지만,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은 책이다.